개발/SPRING
SpringBoot에서 profiles group으로 서버 profile 정리하기
애쿠
2023. 8. 23. 09:30
아래는 한 서비스에서 쓰고 있는 application.yaml 파일이다.
위와 같이 길어진 이유는 서버의 종류가 엄청 많기 때문이다.
서버가 local/dev/stag/qa/prod 외에도 스케줄러가 붙어있어서 7~8개의 profile이 한 yml파일에 존재하게 됐다.
각각 서버의 profile은 아래와 같이 분리해서 application.yml 파일에 설정한다.
###
###
### local
###
###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나눠 놓을 수는 것 까지는 좋다. 그런데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
그래서 모든 서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부분을 분리하지 않아서 yaml 파일이 엄청나게 길어지게 된 것이다.
이런 식으로 보관하면, 모든 서버에서 사용할 공통요소를 추가할 때마다 모든 profile에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매번 같은 설정을 같은 위치에 7~8번 붙여넣어야되서 실수도 많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pring에서는 profiles.group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다.
spring:
profiles:
group:
"local": "common, local"
"dev": "common, dev"
"stag": "common, stag"
"prod": "common, prod"
프로필 설정은 기존에 정의하던대로 사용하고, 각 서버 환경에서 사용할 profile을 그룹화해서 작성하면 된다.
위 예시에서는 공통적으로 처리할 내용은 common에서 관리하도록 했다.
profile의 이름은 알아서 지정하면 된다.
spring:
profiles:
group:
"local": "common, local"
"dev": "common, dev"
"stag": "common, stag"
"prod": "common, prod"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common"
...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
아직 작은 시스템을 운영 중이라면 빨리 붙이자.
덩치가 커지면 수십번 copy & paste를 해야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