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번 글에서, Kotlin DSL로 JOOQ를 프로젝트에 적용시켜봤다.2025.02.28 - [개발/SPRING] - Kotlin + SpringBoot에 JOOQ 적용기 - 1. 선택 이유와 코드 자동 생성하기 사실 사용법은 여기서 다룰 필요 없이 공식문서에서 굉장히 잘 다뤄주고 있다.https://www.jooq.org/doc/latest/manual/sql-building/sql-statements/select-statement/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냥 내가 썼던 쿼리들을 몇개 가져와서 어떻게 썼나 소개해보려고 한다. SELECTfun findById(userId: String, projectId: String): Project { return dsl.selectFrom(PROJECTS) ..

회사에서 작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Elasticsearch 를 써볼 기회가 생겼다. 들어가기 전에 Elasticsearch 가 뭔지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자 Elasticsearch 란? Elasticsearch는 텍스트, 숫자, 위치 기반 정보, 정형 및 비정형 데이터 등 모든 유형의 데이터를 위한 무료 검색 및 분석 엔진으로 분산형과 개방형을 특징으로 합니다. Elasticsearch는 Apache Lucene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Elasticsearch N.V.(현재 명칭 Elastic)가 2010년에 최초로 출시했습니다. 간단한 REST API, 분산형 특징, 속도, 확장성으로 유명한 Elasticsearch는 데이터 수집, 보강, 저장, 분석, 시각화를 위한 무료 개방형 도구 모음인 El..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AI API
- object
- Kotlin
- S3
- cache
- JWT
- OpenAI
- AOP
- terraform
- MySQL
- java
- docker
- 오블완
- Elastic cloud
- ChatGPT
- elasticsearch
- Spring
- EKS
- 스프링부트
- 티스토리챌린지
- GIT
- lambda
- 후쿠오카
- AWS EC2
- Log
- serverless
- springboot
- 람다
- AWS
- CloudFron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