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to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일이 생겼는데.... 문제가 생겼다. 문제 상황은 다음과 같다. 1. A 서버에서 B서버로 요청을 보낼 계획2. A 서버는 S3에서 파일정보를 가져와서 ByteArray 형태로 들고 있음3. B 서버에는 MultipartFile을 파라미터로 받는 API(ex. /api/file)가 존재함 - 수정 불가(FE에서 사용 중) 4. A 서버에서 B 서버로 /api/file을 요청해야 함 - 데이터만 삽입하고 끝내기엔 이력이나 업데이트해야할 정보가 많음5. A 서버에서는 FeginClient를 사용 중(HTTP 통신을 위해서 사용 중, 굳이 고집하지 않아도 됨) 요약하면,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 스프링부트 서버에서 MultipartFile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와 Feign..
서비스 기획 중 하나가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서비스 예정이라, 이에 관한 마케팅을 진행한다고 한다. 그런데 현재 서비스가 카카오 로그인을 지원하지 않고 있었다. (사용자의 유입을 늘려야하는데!) 바로 구현에 들어가기로 했고, 카카오 Rest API 문서를 보면 Oauth 2.0 기반으로 회원가입/로그인을 지원한다고 한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스퀀스 다이어그램을 하나 제공하는데... 이게 좀 문제가 있는게 SSR(서버 사이드 랜더링)을 위한 구조도이다. 그래서 CSR에서는 적합하지가 않다. 왜냐면 로그인 요청을 받은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의 회원가입 여부를 확인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callback 페이지의 redirection도 해야하는데 서버에서는 적절하게 이를 제어할 수 없다. 때문에 FE 서버에서 ..
- Total
- Today
- Yesterday
- lambda
- MySQL
- 후쿠오카
- GIT
- Spring
- serverless
- JWT
- 람다
- S3
- springboot
- OpenFeign
- 티스토리챌린지
- Log
- AWS
- openAI API
- java
- OpenAI
- Kotlin
- terraform
- EKS
- cache
- AOP
- ChatGPT
- AWS EC2
- CloudFront
- docker
- 스프링부트
- Elastic cloud
- 오블완
- elasticsearch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