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기 위해 바닐라 쿠버네티스를 설치하면, 컨트롤 플레인에 설정해야하는 오픈소스와 정책들이 많다. 결정해야하는게 많다는 것은 좋게보면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거지만, 나쁘게 보면 사용 허들이 높다. 그래서 여러 클라우드 벤더들은 컨트롤 플레인에서 결정해야하는 것들을 베스트 프랙티스로 제공해주는데, 이러한 제품들을 매니지드(Managed) 쿠버네티스라고 한다. 당연히 AWS에서도 매니지드 쿠버네티스 제품을 제공하는데, 이 제품이 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Amazon EKS)다. EKS 클러스터란?Amazon EKS 클러스터에는 두 가지 기본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1. Amazon EKS 제어 영역2. 제어 영역에 등록된 Amazon EKS 노드Amazo..

이 문제는 아마도 모든 AWS JAVA SDK 1.0 에서 일어나는 문제일테니 주의가 필요하다.. S3 SDK를 처음 서버에 적용할 때도 발생했던 문제였는데, SQS 적용 과정에서도 똑같은 문제를 겪었다. 분명 로컬에서 테스트할 때는 잘 동작하는게, dev서버만 올라가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서버가 배포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WARNING을 띄웠다. { "@timestamp": "2023-08-04T09:26:57.140Z", "message": "Ignoring queue with name '[큐이름]': The queue does not exist or no access to perform action sqs:GetQueueUrl.; nested exception is com.am..
- Total
- Today
- Yesterday
- springboot
- lambda
- ChatGPT
- cache
- S3
- elasticsearch
- 스프링부트
- java
- JWT
- GIT
- docker
- MySQL
- EKS
- 후쿠오카
- Spring
- Kotlin
- openAI API
- OpenAI
- CloudFront
- Log
- AOP
- AWS
- 티스토리챌린지
- terraform
- Elastic cloud
- object
- 람다
- 오블완
- AWS EC2
- serverle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