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스프링 서버를 개발하다보면 클라이언트 측에서 보내주는 파일을 당연한듯이 MultipartFile로 핸들링하게된다. 그런데 MultipartFile을 들어가보면 interface인데, 요청을 받기 위한 MultipartFile은 따로 구현체가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클래스처럼 사용할 수 있을까? 이는 private static 클래스로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구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HttpServletRequest ↓StandardServletMultipartResolver ↓Standard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partHttpServletRequest 구현체) ↓StandardMultipartFile (private static class)Standar..

서버 to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일이 생겼는데.... 문제가 생겼다. 문제 상황은 다음과 같다. 1. A 서버에서 B서버로 요청을 보낼 계획2. A 서버는 S3에서 파일정보를 가져와서 ByteArray 형태로 들고 있음3. B 서버에는 MultipartFile을 파라미터로 받는 API(ex. /api/file)가 존재함 - 수정 불가(FE에서 사용 중) 4. A 서버에서 B 서버로 /api/file을 요청해야 함 - 데이터만 삽입하고 끝내기엔 이력이나 업데이트해야할 정보가 많음5. A 서버에서는 FeginClient를 사용 중(HTTP 통신을 위해서 사용 중, 굳이 고집하지 않아도 됨) 요약하면,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 스프링부트 서버에서 MultipartFile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와 Feign..
- Total
- Today
- Yesterday
- ecs
- 스프링부트
- EKS
- OpenAI
- 인프런
- 후쿠오카
- 람다
- CORS
- AWS EC2
- CloudFront
- cache
- terraform
- S3
- serverless
- docker
- java
- 티스토리챌린지
- AOP
- 오블완
- ChatGPT
- Spring
- Kotlin
- GIT
- Log
- object
- lambda
- JWT
- elasticsearch
- springboot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