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에도 참가했던 컨퍼런스에 올해도 참석하게 됐다. 2024.07.28 - [일상/대외활동] - I/O Extended 2024 Incheon 참가 요약 및 후기 올해는 좀 쉬어갈까 했는데, 발표자분이 초대해줌 + 오랜만에 지인들도 볼겸 참가하게 됐다. 컨퍼런스를 갈 때마다 보고싶은게 서로 다른 세션에 흩어져 있어서, 왔다갔다하는게 피곤해서 이번엔 Tech 세션에서 쭉 듣기로 했다. 가장 많이 도움될만한 세션 1번과 6번일 것 같고, 2,4번도 재밌을 것 같다. 3,5번은 사실 큰 도움이 될 것 같진 않지만, 한번쯤 들어볼만하지 않을까? 란 기대를 하고 있다. 1. SnowFlake, 분산서버에서 고유 ID를 생성하는 방법대상 : 백엔드 5년차 이상의 RDB 테이블 설계 경험(PK와 인덱스에 대한 고민)..

개요매년 스프링캠프를 지원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당첨됐다. 최근 안좋은 일도 있었지만 안좋은 일만 있는 건 아닌 것 같다. 올해는 스프링 캠프 10주년이라 힘을 주고 준비했다는데... 제법 기대를 하고 들으러 왔다. 세션은 다음과 같았다. 첫 세션이 제일 고민됐다. 다양한 종류의 세미나를 들으러다니는 이유가 가능한 많은 사례들을 보고 싶어서인데, 첫세션을 ML이 아니라 SaaS를 개발하는데 있었던 일들을 듣는 것도 충분히 재밌어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ML쪽도 재밌어보였고 HR이란 분야가 너무 핏한 분야 같아서, 일단은 리젠시홀로 스타트를 끊었다. 후기를 작성할 때마다 내 생각도 주석을 조금씩 남기는데, 파란색이 내가 한 생각들이다. 1. 난 spring에서 ml 서빙을 해봤어요오랫동안 ml에서 주로 ..

인제님이 운영하시는 오픈소스 모임 오프라인 밋업에 참석했다. 나는 이번 기수에도 저번에 했던 것과 동일하게 spring-cloud-aws에 기여했다. 저번에는 오류 픽스와 간단한 파라미터 추가였다면 이번엔 조금 난이도가 있는 피쳐 개발로 넘어왔다. 이 소개는 다음에 하고 이번 모임에는 이미 각자가 기여한 오픈소스에 PR을 하고, 머지까지 하신 분들이 발표를 진행해 주셨다. 스무명 남짓 모여서 아담하게 한 밋업이라 꽤 재밌게 진행됐다.첫 발표 스프링 카프카와 아파치 카프카에 기여하신 분이 발표를 해주셨다. 5월에만 7건 PR 처리를 하셨는데, 피쳐랑 버그 픽스를 다양하게 진행하셨다. 특이한 건 이슈를 만들기도 하고, 이슈를 진행하다 별도의 버그를 찾아 기여하기도 하셨다. 현재 spring-cloud-aws..

작년에도 AWS Summit을 참석했었다.2024.05.18 - [일상] - [컨퍼런스] AWS Summit Seoul 2024 - 1일 차 후기2024.05.19 - [일상] - [컨퍼런스] AWS Summit Seoul 2024 - 2일 차 후기 다만 이번에는 작년과는 차이가 있었는데, 작년에는 플랫폼 엔지니어링이란게 뭘까라는 뚜렷한 목적이 있었다. 이번에는 성장이 막혀있단 느낌이 있어서 이걸 뚫어보고 싶어서 다양한 개발 사례를 보고 싶었다. 그런데 막상 가니까 너무 AI 쪽에 쏠려 있었다. 들어가기 전에 잠깐 정리하자면 사람이 너무너무너무 많았다... 기업 부스도 돌아봤는데 대부분 LLM을 이용한 챗봇과 업무 효율화 관련 내용이었다. 그렇게 재밌진 않아서 바로 세션을 들으러 갔다. 세션은 아래와 같..

2024.01.29 - [일상] - [컨퍼런스] 게으른 개발자 컨퍼런스 후기 작년에 꽤 재밌게 봤던 컨퍼런스라 올해도 지원해서 왔다. 올해 첫 컨퍼런스 참석인데, 시작으로는 나쁘지 않은 듯하다. 작년에 비해 세션이 많이 간소화 됐다. 작년에는 듣고 싶은 세션에따라 장소를 계속 옮겨야했고 참여 인원이 너무너무 많았어서 굉장히 혼란스러웠다. 올해는 5천원이지만 유료세션으로 변경되었고, 장소도 한곳에서 진행되어 듣는 입장에서 편하게 들을 수 있었다. 발표 자료 : https://github.com/lazyconf-dev/2025-lazydevconf1. 24시간 끊기지 않는 잔고 서비스 개발작년에 재밌게 봤던 거래소에서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발생했던 문제에 대해 발표하셨던 분이 다시한번 세션을 준비해주셨..

난 코테를 매우 싫어한다. 아무것도 몰랐을 때야 아무 생각없이 공부했지만, 코딩 테스트는 실무랑 완전히 동떨어져있다는 걸 알게된 이후로는 코테 공부는 시간 낭비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경력직 개발자에게도 코딩 테스트를 요구하기 때문에 아쉬운 사람이 공부해야하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다. 그 와중에 작년 말, Dale님이 운영하는 코딩테스트 스터디를 추천받았고 이번에 3기로 출발해서 15주차까지 완주했다. 목표 였던 모든 문제 완주하기를 어떻게 완료하긴 했는데 솔직히.. 조금 힘들었다. 아니 많이 힘들었다. 특히 하드문제는 GPT의 도움없이는 코드를 완성하기 어려웠다. 다 맞았다고 생각했는데 예외 한두개 때문에 코드가 엄청나게 복잡해지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그런지 주차가 지날..

시작과 중간 과정을 따로 정리하진 않았지만, 약 6개월 간의 멘토링이 끝났다.(내가 보려고 남겨두는 링크) 멘토링의 시작과 끝을 링크드인에도 썼었는데, 처음해보는 멘토로서의 역할은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제법 재미있었다. 처음에는 멘토링 대상으로 골라준 분이 FE 개발자 지망생이라 처음에는 당황했었다. 하지만 주제가 "진로지원" 멘토링이라, 나도 나름 취준 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이것저것 알려드릴 수 있었다. 멘토링 초기엔 회사 조사도하고 희망하는 회사에서 요구하는 기술스택과 준비해야하는 것들이 뭐가 있는지 함께 알아봤었다. 안타까운 점은 24년 후반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채용 공고가 줄어드는게 눈에 보여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또 멘티 분이 부트캠프를 진행 중이었는데 부트캠프가 프로젝트 위주로 돌고 있..

토스, 우형, 당근 등등 올해 연달아 개발 세미나가 있었는데, 어찌된게 한번도 당첨이 되지 않았다. 유튜브로 올려주는 것들만 짬짬이 보고 있는데 이번에 Nvidia 인셉션 밋업이 있어서 들으러 왔다. 먼저 Nvidia Inception이 뭔지에 대한 설명부터 하고 넘어가야한다.https://www.nvidia.com/ko-kr/startups/?ncid=no-ncidNVIDIA Inception은 최첨단 기술과 NVIDIA 전문가에 대한 액세스, 벤처 투자자와의 연결 기회, 기업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공동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스타트업이 더욱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우리회사는 Nvidia Inception 회사로 선정되어 구성원인 나도 첨석할 수 있었다. 세션이 영어로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부트
- EKS
- 후쿠오카
- ecs
- Log
- docker
- GIT
- cache
- S3
- 티스토리챌린지
- ChatGPT
- springboot
- Spring
- JWT
- java
- AWS
- Kotlin
- AOP
- serverless
- CORS
- CloudFront
- 람다
- OpenAI
- AWS EC2
- terraform
- 후기
- elasticsearch
- lambda
- 오블완
- obje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