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이란? (2) - Git 명령어
이번 장에서는 저장소를 만들고 설정하는 방법, 파일을 추적하거나(Track) 추적을 그만두는 방법, 변경 내용을 Stage 하고 커밋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파일이나 파일 패턴을 무시하도록 Git을 설정하는 방법, 실수를 쉽고 빠르게 만회하는 방법, 프로젝트 히스토리를 조회하고 커밋을 비교하는 방법, 리모트 저장소에 Push 하고 Pull 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Git command 정리 1.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기존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만들기 디렉토리 내에 .git 이라는 하위 디렉토리 생성된다. git init git clone 기존 저장소 clone 하기.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거나(Contribute) Git 저장소를 복사하고 싶을 때 사용 Subversion에서 "checko..
개발/git
2023. 1. 29. 02:09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springboot
- JWT
- docker
- ChatGPT
- Kotlin
- CloudFront
- OpenAI
- 후쿠오카
- cache
- Elastic cloud
- 오블완
- 람다
- terraform
- 티스토리챌린지
- elasticsearch
- serverless
- OpenFeign
- openAI API
- Spring
- AOP
- AWS
- java
- lambda
- S3
- MySQL
- Log
- EKS
- GIT
- 스프링부트
- AWS EC2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