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야기했지만 Go도 알아야되는 상황이 됐다. 그 이유는 Go로 개발한 Lambda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것도 몰라서 바닥부터 머리를 박아가면서 알게된것들이 많다. Go로 Lambda를 개발할 때 주의할 점이 몇가지 있다. 1. yarn이나 npm 같은 패키지매니저가 없어서 makefile을 이용해 빌드 방식을 관리한다. 2. 올해(2024년)부터는 runtime을 go 1.x보다 Amazon Linux 2를 사용하길 권장한다. 3. binary를 생성하고, Amazon Linux 2에서 사용되는 bootstrap으로 람다에 배포해야한다. 참고자료 : https://docs.aws.amazon.com/ko_kr/lambda/latest/dg/golang-package.html 추가적으로, Go의 함수..
어째서인지 람다 몇개가 Go 언어로 만들어져 있다. Window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레퍼런스가 linux가 많기도하고.. 현재 람다에서 쓰는 go 코드가 makefile로 빌드하고 있어서 반강제적으로 linux에서 사용해야 했다. WSL에서 설치하려니 번거로움이 많았는데, 좋은 사이트를 발견해 정리해봤다. 1. Go의 최신 버전 체크 일반 Linux, macOS, Windows는 go에서 제공하는 릴리즈 파일을 사용해 설치하면 된다. https://go.dev/dl/ 2. Go 설치 1월 11일 설치 당시 go 1.21.5 버전이 최신 버전이었다. wget https://dl.google.com/go/go1.21.5.linux-amd64.tar.gz sudo tar -xvf go1.21.5.linu..
- Total
- Today
- Yesterday
- OpenFeign
- AWS
- Elastic cloud
- java
- AWS EC2
- docker
- AOP
- S3
- Kotlin
- ChatGPT
- JWT
- cache
- 오블완
- MySQL
- openAI API
- EKS
- 람다
- elasticsearch
- 티스토리챌린지
- springboot
- 스프링부트
- Spring
- Log
- OpenAI
- terraform
- CloudFront
- 후쿠오카
- GIT
- lambda
- serverles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