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 [개발/인프라] - Terraform AWS VPC 셋업하기 - 1 의 후속편 이전 포스팅에서 Terraform VPC 모듈을 이용해 구축하는 방법을 정리했었다. 어떻게보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VPC 모듈 외의 요소들도 실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된다. 진짜 다양한 리소스들이 있지만 내가 써본 것들 위주로 정리해볼 예정이다. AWS 엔드포인트(AWS EndPoint)VPC 엔드포인트를 사용하면 인터넷 게이트웨이, NAT 디바이스, VPN 연결 또는 AWS Direct Connect 연결을 사용할 필요 없이 Virtual Private Cloud(VPC)와 지원되는 서비스 간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PC는 퍼블릭 인터넷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어떻게보면 구축하면 효과는 확실하지만 ..
Terraform,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을 이용해 AWS 바닥부터 구성해가고 있다. 공부를 제대로 시작하려면 HCL의 구성요소, 명령어, 사용법 등등을 알고 넘어가면 좋겠지만 내가 공부하는 스타일 상 너무 차근차근하면 시도조차 못해서 일단 시작해봤다.안전한 production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가장 먼저 구축되어야하는건 VPC이다. VPC에는 내부에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아래에 잘 설명해뒀다. 2024.04.16 - [개발/AWS] - 한 눈에 알아보는 AWS VPC(Virtual Private Cloud) 정리 내가 구축하려는 환경은 다음과 같다. 1. VPC2. Private/Public Subnet 각각 2개3. Private/Public..
DevOps와 AWS 인프라 부분에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됐다. 그동안 하시코프 언어에 대한 진입 장벽으로 관리가 어려웠던 IaC(infra as code), Terraform부터 차근차근 시작해보려고한다. AWS 자원들을 처음부터 테라폼으로 생성했다면 Terraform 으로 관리하기 편했겠지만, 이미 너무 많은 AWS 자원들이 Terraform으로 관리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었다. 그렇다면 조금 불편하지만 수동으로 하나씩 가져와야 한다. terraform import라는 명령어를 이용하는 것인데 Terraform v1.5.0 이후 부터 지원한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둘 다 간단하다. 1. import.tf 파일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tf 확장자만 지정해주면 파일명은 딱히 상관없다. impor..
- Total
- Today
- Yesterday
- ecs
- AWS EC2
- 후쿠오카
- ChatGPT
- S3
- 오블완
- elasticsearch
- 티스토리챌린지
- EKS
- Log
- CloudFront
- GIT
- lambda
- 람다
- Kotlin
- 스프링부트
- springboot
- Spring
- cache
- terraform
- CORS
- OpenAI
- AOP
- 인프런
- JWT
- java
- AWS
- serverless
- Redis
- docker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