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ztYc/btsL5rpRe3X/LARJrYSq0JN2xZKgLIh4S1/img.png)
개요기존 프로젝트에선 EKS를 사용 중이었다. EKS를 사용하다보니 계속해서 생겨나는 무언가 + 빠른 주기의 업데이트 + 가격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관리가 어려웠다. 그렇지만 자동관리해주는 부분을 포기할 수는 없어서 타협을 본게 ECS였다. 아직까지는 좋은 선택이었다 생각이 들지만, ECS도 진입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장벽이 있었다. 용어나 사용법, CI/CD 구성 방법 등이 기존과 조금 달라서 애먹었다. 일단 이 포스팅에서는 용어와 구성 요소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ECS의 주요 개념과 구성 요소 1. 클러스터 (Cluster) ECS 클러스터는 컨테이너 작업(Task)을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인 리소스 그룹이다. 논리적인 말은 가상이라는 뜻이다. 그냥 어디에 배포할지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LG0iN/btsL4bIimbl/KBJkatOdRs7qk86NK5ftsK/img.png)
개요새로운 서비스가 시작하면서 AWS관리부터 devOps, BE 개발을 전반적으로 다 관리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서버 설정을 만질때가 많은데, 그중에서 관리가 특히 필요한 것들이 외부 API 키나 DB 커넥션 관련 정보다. 1. 누출되면 데이터를 싹 털릴 수도 있고, 무분별한 사용으로 비용이 치솟을 수 있는 것들.2. 기간 만료/갱신 등으로 인해 수시로 변경되고, 서버 프로필 별로 따로 관리가 필요한 것들. 이런 것들을 한번에 관리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원하는게 AWS Parameter Store다. 이번 포스팅에는 아래와 같이 사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Terraform으로 db관련 간단한 파라미터를 등록2. ECS Task의 IAM 정책에 ssm 작업 추가3. SpringBoot 3.0에서..
- Total
- Today
- Yesterday
- S3
- terraform
- MySQL
- elasticsearch
- AOP
- OpenAI
- 티스토리챌린지
- JWT
- Log
- AWS EC2
- springboot
- GIT
- CloudFront
- OpenFeign
- openAI API
- EKS
- serverless
- 후쿠오카
- Kotlin
- Spring
- java
- 람다
- ChatGPT
- 오블완
- Elastic cloud
- 스프링부트
- docker
- lambda
- cache
- AW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