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AWS RDS DB를 public subnet에 둘 수 있다면 RDS 엔드포인트만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하는 입장에서는 행복해질 수 있다. 그러나 당연하게 AWS에서도 보안상으로 민감한 데이터를 갖고 있는 DB의 경우 public subnet에 두는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https://aws.amazon.com/ko/blogs/database/best-practices-for-creating-a-vpc-for-amazon-rds-for-db2/ Best practices for Amazon VPC design 챕터 참고) 그렇다면 DB를 private subnet으로 옮기게 되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외부에서는 RDS 엔드포인트에 직접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때문에 private VPC에..

작년 말에 Aurora MySQL 5.7 버전의 지원 종료와 연장 지원 안내를 받았었다.https://aws.amazon.com/ko/blogs/korea/your-mysql-5-7-and-postgresql-11-databases-will-be-automatically-enrolled-into-amazon-rds-extended-support/ 요약하면 권장 사항인 MySQL 8.0 대신 MySQL 5.7 버전을 계속 사용할 경우 돈을 더 내라는 내용이었다. 올해 전반기 내내 다사다난해서 지금껏 미뤘다가 이제서야 업데이트를 시작할 여유가 생겼다. 버전 업데이트에 앞서 문제 상황을 확인해보자. 1. 연장 지원 비용비용이 저렴하다면 그냥 둬도 될 것 같다. 그런데 연장 지원 비용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EKS
- AWS
- 스프링부트
- serverless
- lambda
- AOP
- terraform
- S3
- ChatGPT
- docker
- JWT
- OpenAI
- cache
- Kotlin
- Log
- CloudFront
- Spring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elasticsearch
- java
- springboot
- 후쿠오카
- openAI API
- AWS EC2
- 람다
- object
- Elastic cloud
- GIT
- MySQ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