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들은 이 글을 쓰기위한 빌드업이 었다. 1. AWS S3와 CloudFront 연동 끝까지 가보기 2. WSL/WSL2에 Go(Golang) 설치하기 3. Go + serverless framework로 Lambda 관리하기 4. 꼭 읽어줬으면 하는 AWS Lambda@Edge의 특이 사항들 정리 개인적으로는 Lambda@Edge를 시작하기전에 4번은 꼭 훑고 갔으면 좋겠다. 1번 글의 마치며에서도 언급한 내용이지만, 이미지가 아직 CloudFront(CDN)에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 첫 로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문제는 이미지의 크기가 커질수록, 더 커질 것이다. 그래서 이미지의 사이즈를 작게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리사이징이든, 확장자 변환이든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하지만 ..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고, 개발하면서 고통받았던 사항들 정리한 것이다. 공식 가이드 문서를 다 봤어도 놓칠만한게 꽤 있었을 것 같다. 1. Lambda@Edge는 Nodejs, Python으로만 사용가능하다. AWS 인프라도 정리해볼 겸, Go 사용법도 익힐 겸 Lambda@Edge를 이용해서 이미지 변환을 해보려고 했다. 이미지 변환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Go 코드를 다짜놨는데 웬걸? Go는 Lambda@Edge에 사용할 수 없었다. 함수를 만들기 전에 Lambda@Egde를 미리 만들어볼걸 그랬다. 2. 아키텍처와 리전의 제한이 있다. 리전은 us-east-1, 아키텍처는 x86_64이 고정이다. 리전 고정은 CloudFront와 동일한 리전에 위치하기 위해서 인 것 같고,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호환성 ..
- Total
- Today
- Yesterday
- S3
- ChatGPT
- MySQL
- 후쿠오카
- OpenFeign
- CloudFront
- lambda
- JWT
- Kotlin
- Elastic cloud
- AWS EC2
- 스프링부트
- GIT
- openAI API
- AWS
- OpenAI
- 티스토리챌린지
- Log
- Spring
- serverless
- springboot
- elasticsearch
- cache
- 오블완
- EKS
- docker
- java
- AOP
- 람다
- terrafor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