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거치는 것은 번거롭고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작업이다. 때문에, DB의 부하도 줄일 겸해서 인메모리에 짧은 시간,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저장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가 Redis를 사용해서 캐싱을 하는건데, 스프링 자체에서도 캐시 기능을 제공한다. 이전에 비슷한 내용의 글을 작성했는데, 스프링부트에서 굉장히 쉽게 구현이 가능해서 정리해봤다. 사용법 별도의 gradle 설정이 필요 없다. 라이브러리도 딱히 받을 필요없음. 1. Config 설정 - Map형식으로 사용하고 싶어서 ConcurrentMapCacheManager 사용함 @Configuration @EnableCaching public class CacheConfig { @Bean public..
Chat API란? https://platform.openai.com/docs/api-reference/chat 정확히는 OPEN API에서 제공하는 GPT 모델과 chat을 할 수 있게끔 요청하는 API다. 얼마전만해도 completion만을 이용해서 GPT에게 질문하고 결과를 받아올 수 있었는데, 조금 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API가 생겼다. 기존에 제공하던 completion보다 더 많은 파라미터를 전달 받고, 조금 더 다양한 데이터를 response에 담아준다. 이전에는 GPT와 메시지를 주고 받는 API로는 Completion만 제공했었다. 그런데 Completion API는 간단한 질답은 가능하지만, 바로 직전의 대화도 기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웹에서 제공하는 ChatGPT는 이전..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 S3
- CloudFront
- GIT
- docker
- 스프링부트
- Log
- 오블완
- ecs
- OpenAI
- object
- 인프런
- CORS
- serverless
- 람다
- JWT
- AWS
- terraform
- 후쿠오카
- ChatGPT
- Kotlin
- EKS
- AOP
- springboot
- Spring
- AWS EC2
- lambda
- cache
- 티스토리챌린지
- elasticsearch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