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azon VPC (Virtual Private Cloud) 를 사용하면 정의한 논리적으로 격리된 가상 네트워크에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과 함께 고객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합니다. Amazon VPC(Virtual Private Cloud)는 AWS 계정 단위의 논리적으로 격리된 가상 네트워크다. 대부분의 AWS 서비스는 VPC 없이 사용할 수 없다. 별도의 설정을 하지않으면 디폴트로 생성되어 있던 public VPC가 설정된다. 격리되지 않은 네트워크를 사용한다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AWS 리소스들이 공개된 망에 노출되어 WAS, DB가 보안 공격에 취..

DevOps와 AWS 인프라 부분에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됐다. 그동안 하시코프 언어에 대한 진입 장벽으로 관리가 어려웠던 IaC(infra as code), Terraform부터 차근차근 시작해보려고한다. AWS 자원들을 처음부터 테라폼으로 생성했다면 Terraform 으로 관리하기 편했겠지만, 이미 너무 많은 AWS 자원들이 Terraform으로 관리되지 않은 채 사용되고 있었다. 그렇다면 조금 불편하지만 수동으로 하나씩 가져와야 한다. terraform import라는 명령어를 이용하는 것인데 Terraform v1.5.0 이후 부터 지원한다.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둘 다 간단하다. 1. import.tf 파일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tf 확장자만 지정해주면 파일명은 딱히 상관없다. impor..

https://www.inflearn.com/course/%EC%9E%90%EB%B0%94-%EC%8A%A4%ED%94%84%EB%A7%81-%ED%85%8C%EC%8A%A4%ED%8A%B8-%EA%B0%9C%EB%B0%9C%EC%9E%90-%EC%98%A4%EB%8B%B5%EB%85%B8%ED%8A%B8 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 김우근 - 인프런김우근 | Spring에 테스트를 넣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더 나아가 자연스러운 테스트를 할 수 있게 스프링 설계를 변경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프로젝트 설계를 발전시키는 테스트의 본질을 짚www.inflearn.com 아키텍처에 정답은 없다. 문제와 해결과정만 있다. 이 강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레이어드 아키..

1편에서 부터 이어지는 내용 2024.03.30 - [일상] - 가상면접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1 을 읽고 12장. 채팅 시스템 설계요청 사항이 조금 빡세다. DAU 5천만에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모든 메신저의 기능 지원, 메시지 길이 10만자까지 지원해야 한다. 너무 많은 요구 사항이 있고,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작업이라 DB부터 실시간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론까지 필요하다. 우선, 채팅 서비스 접속에는 HTTP의 keep alive 헤더를 이용한 방식을 제안한다. 하지만 메시지 수신 시나리오는 조금 더 복잡한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폴링 방식은 접속한 사용자가 연결이 끊어졌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답 해줄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도 응답을 대기하다가 타임아웃 후 재연결..

재귀(再歸)란?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함수에서 자신을 다시 호출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 어떤 루틴이나 프러시저가 자기 자신을 반복적으로 호출하여 문제를 풀어 나가는 알고리즘으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택을 사용한다. 간단한 루틴을 풀 수 있지만, 처리 속도가 느리고 횟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프로그램이 정지하기도 한다. - 네이버 사전 재귀 문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피보나치 문제가 있다. 위의 인용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재귀라는 방식 자체가 시간복잡도를 줄여주는 방식은 아니다. 그러나 메모이제이션이라는 방식을 통해 중간 결과를 저장해두는 방식으로 처리한다면, 계산 횟수를 많이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조건문을 통해서 불필요한 가지를 쳐내는 방식으로도 계산횟수를 줄인다. 이번..

백준에서 코테 문제를 풀다보면 느끼겠지만, 입/출력 쪽에서 시간 초과가 자주 발생한다. (분명 알고리즘은 맞았는데, 계속 시간초과가 나면 대부분 이 문제다..) 각각 어떤 곳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파헤쳐보자. 입력 문제 입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는 대부분 Scanner를 써서 여러번 next()나 nextInt()으로 가져오는 경우다. 입력에 문제가 생겼던 문제는 탑 이었다. 50만번은 딱히 많아보이지 않는 갯수이다. N번 정도는 그냥 하면 되는거 아냐?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next의 코드를 따라가보면 문제가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public String next(Pattern pattern) { ensureOpen(); if (pattern == null) throw new NullPointe..

멘토링 준비도 할 겸해서 코딩 테스트 고수 지인 분의 도움을 받아 코딩 테스트 문제를 조금씩 풀고 있다. 솔직히 피곤하고 힘들지만 한달간 꾸준히 푼 결과 solved.ac에서 측정하는 레벨이 꽤나 올랐다. 어떤 카테고리부터 푸는게 좋을지 고민 중이었는데, 스택을 추천 받았다. 그런데, 스택 코딩 테스트 문제는 일반적인 자료구조 사용법과 같이 만만하지 않았다. 브론즈부터 벽을 좀 느꼈달까 문제를 푼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막대기 : https://www.acmicpc.net/problem/17608 2. 괄호 : https://www.acmicpc.net/problem/9012 3. 탑 : https://www.acmicpc.net/problem/2493 4. 스카이라인 쉬운거 : https://www..

역시 내 직무와 핏하진 않지만 재밌어보여서 들으러간 세션 일단 우리서버에도 istio가 있는데 딱히 특별한 동작을 하고 있진 않지만 일단 클러스터로 떠 있으니 istio가 뭔지만 알아도 도움이 될 거 같아서 참석(istio는 kiali라는 거랑 같이 많이 쓴다고 함) 그리고 두번째 세션인 AWS network는 어떤 내용을 할지가 궁금했는데, 생각과는 전혀 달랐던 세션이라 아쉬웠다. 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마이그레이션 작업 후기(feat. istio envoyfilter의 난)구 클러스터 -> 신 클러스터, 최신 메타에 맞춰가기 위함 구 클러스터의 헬름 차트 : 뭘 하고자 하는지 알겠는데, 미묘하게 다르고 최신 메타는 아님 작지만 묵직한 녀석- 아이템 지급 요청 등을 받았을 때 해당 요청을 보낸 주체..
- Total
- Today
- Yesterday
- cache
- ChatGPT
- Spring
- AWS EC2
- Log
- EKS
- S3
- lambda
- CloudFront
- ecs
- Kotlin
- docker
- OpenAI
- Redis
- 후쿠오카
- AWS
- 람다
- JWT
- terraform
- 티스토리챌린지
- CORS
- springboot
- serverless
- AOP
- java
- 인프런
- 오블완
- 스프링부트
- elasticsearch
- GI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